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캠프 케이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캠프 케이시는 대한민국 동두천시에 위치했던 주한 미군의 군사 시설이다. 한국 전쟁 정전 이후 1953년 텐트촌으로 시작되었으며, 닉슨 독트린에 따라 1971년 제7보병사단이 해산되면서 미국 본토로 귀환했다. 2006년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의 설립으로 '미국 육군 케이시 엔클레이브'가 창설되었고, 2018년 캠프 레드 클라우드 폐쇄 이후 용산 기지와 통합, USAG 용산-케이시로 운영되었다. 캠프 캐슬, 캠프 호비와 함께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로 이전 예정이었으나 반환이 지연되었다. 캠프 케이시에는 다양한 종교 및 복지 시설, MWR 시설, AAFES 시설, 교육 시설 등이 갖춰져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두천시의 건축물 - 동두천시외버스터미널
    동두천시외버스터미널은 롯데마트가 부대시설로 입점해 있고, 18개의 승차홈과 편의 시설, 사무실을 갖춘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터미널로, 수서역, 연천, 인천국제공항 방면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 동두천시의 건축물 - 캠프 캐슬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 주한 미국 육군의 기지 - 캠프 킴
    캠프 킴은 서울 용산에 위치한 주한미군 기지로, 서울시가 부지 매입 후 행정타운 조성을 계획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주한미군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 1952년 설립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1952년 설립 - 용산기지
    용산기지는 서울 용산구에 위치했던 주한미군 사령부였으며, 기지 부지는 서울시에 단계적으로 반환될 예정이며 공원 조성 계획이 추진 중이다.
캠프 케이시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2보병사단 군복 패치 (전체 색상)
제2보병사단 패치
위치경기도 동두천시, 대한민국
종류육군 기지
건설1952년
소유
사용1952년–현재
주둔 부대제2보병사단
별칭USAG 용산-케이시
영어 명칭Camp Casey
한국어 명칭캠프 케이시
역사
건설 년도1952년
군사 정보
통제미국 육군
주둔 부대제210야전포병여단
전투해당 사항 없음 (정보 없음)
기타
비고Camp Humphreys, South Korea: New U.S. base buzzing about North Korea

2. 역사

한국 전쟁 정전 이후, 1953년에 텐트촌 형태의 임시 군영으로 시작되었다.

2. 1. 미군 주둔

닉슨 독트린에 따라 1971년 4월 2일에 미국 본토 워싱턴주의 포트 루이스로 귀환하여 해산했던 제7보병사단의 본거지였다.

2006년,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의 설립으로 캠프 케이시에 본부를 두고 캠프 캐슬캠프 호비를 관리하는 ''미국 육군 케이시 엔클레이브''(USAG|United States Army Garrison Casey Enclave영어)가 창설되었다.

2015년 7월 1일, 미국 국방부는 제2보병사단 1기갑여단전투단을 해체하고, 대신 다른 사단의 1개 기갑여단전투단을 9개월 단위로 한반도에 순환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2018년 10월 18일에 있었던 캠프 레드 클라우드의 폐쇄 이후, 캠프 케이시의 USAG 케이시는 용산 기지의 USAG 용산과 ''USAG 용산-케이시''로 병합되었고 두 시설은 단일부대에서 관리하고 있다.

2. 2. 부대 재배치

닉슨 독트린에 따라 1971년 4월 2일에 미국 본토 워싱턴주의 포트 루이스로 귀환하여 해산했던 제7보병사단의 본거지였다.

2006년,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IMCOM)의 설립으로 캠프 케이시에 본부를 두고 캠프 캐슬캠프 호비를 관리하는 ''미국 육군 케이시 엔클레이브''US Army Garrison Casey Enclave영어가 창설되었다.

2015년 7월 1일, 미국 국방부는 제2보병사단 1기갑여단전투단을 해체하고, 대신 다른 사단의 1개 기갑여단전투단을 9개월 단위로 한반도에 순환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2018년 10월 18일에 있었던 캠프 레드 클라우드의 폐쇄 이후, 캠프 케이지의 USAG 케이시는 용산 기지의 USAG 용산과 ''USAG 용산-케이시''로 병합되었고 두 시설은 단일부대에서 관리하고 있다.

2. 3. 기지 통합 및 반환

닉슨 독트린에 따라 1971년 4월 2일에 미국 본토 워싱턴주의 포트 루이스로 귀환하여 해산했던 제7보병사단의 본거지였다.

2006년,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IMCOM)의 설립으로 캠프 케이시에 본부를 두고 캠프 캐슬캠프 호비를 관리하는 ''미국 육군 케이시 엔클레이브''US Army Garrison Casey Enclave영어가 창설되었다.

2015년 7월 1일, 미국 국방부는 제2보병사단 1기갑여단전투단을 해체하고, 다른 사단의 1개 기갑여단전투단을 9개월 단위로 한반도에 순환 배치하기로 결정했다.

2018년 10월 18일, 캠프 레드 클라우드가 폐쇄된 후, 캠프 케이시의 USAG 케이시는 용산 기지의 USAG 용산과 ''USAG 용산-케이시''로 병합되었고 두 시설은 단일 부대에서 관리하고 있다. 같은 동두천시의 캠프 캐슬캠프 호비, 의정부시캠프 레드 클라우드, 캠프 잭슨, 캠프 스탠리에 주둔 중인 주한 미군은 경기도 평택시캠프 험프리스로 옮겨갈 예정이었으나, 시설 반환은 계속 미뤄지고 있다.

3. 시설

캠프 케이시에는 장병들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시설들이 갖추어져 있다.

AAFES영어 시설과 2016년에 폐교된 국방부 산하 학교 및 아동 및 청소년 학교 서비스 (CYSS) 등이 있다.

3. 1. 종교 및 복지 시설


  • 예배당
  • 매점
  • 법 집행 센터:
  • * 헌병대 - 제2보병사단 헌병대 및 제55헌병대대
  • 이용 가능한 병원:
  • * 치과
  • * 건강 진료소
  • MWR 시설
  • * 항공권 발권 사무소
  • * 레크리에이션 센터
  • * 수퍼 데이룸
  • * 도서관
  • * 인터넷 카페
  • * 영화관 (3D 기능 포함) - 컨퍼런스 센터로도 사용
  • * 골프 코스
  • * 볼링 센터 (케이시에 하나, 호비에 하나)
  • * 실내 (호비) 및 야외 (케이시) 수영장
  • * 야외 테니스/농구장
  • * 소프트볼/야구장
  • * 예술 및 공예 센터
  • * 최근 리모델링된 체육관 2개
  • * 장교 및 부사관/사병 클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현재는 게이트웨이 클럽 (케이시), 워리어스 클럽 (케이시), 아이언 트라이앵글 클럽 (호비)이며 모든 군인이 이용 가능.
  • * 자동차 관리 센터
  • * USO
  • AAFES 시설
  • * PX (Post Exchange, 군 매점)
  • * 소규모 PX 부속 시설
  • * LGU PLUS - 모바일, 인터넷, CATV (케이시와 호비 모두)
  • * 스타벅스 커피
  • * 버거킹
  • * 파파이스 치킨
  • * 앤서니 피자
  • * 찰리스 스테이크리
  • * 배스킨라빈스
  • * 스무디킹
  • * 판다 키친 차이니스 퓨전 (호비)
  • * 크리스피 크림 도넛 (호비)
  • * 로빈 후드 샌드위치
  • * 재단사
  • * 쇼페트
  • * Class VI 매장
  • * 피자 배달
  • * 주유소
  • * 이발소/미용실
  • * GNC
  • 국방부 산하 학교 - 2010년 8월 30일에 개교한 K-8 학교이며, 2016년 6월 폐교 예정
  • 아동 및 청소년 학교 서비스 (CYSS) - 6세 미만 및 초과 아동을 위한 보육 시설이며, 2016년 폐쇄 예정

3. 2. 의료 시설

캠프 케이시에는 다음과 같은 의료 시설이 있다.

  • 치과
  • 건강 진료소

3. 3. MWR (사기, 복지, 레크리에이션) 시설


  • 항공권 발권 사무소
  • 레크리에이션 센터
  • 수퍼 데이룸
  • 도서관
  • 인터넷 카페
  • 영화관 (3D 기능 포함, 컨퍼런스 센터로도 사용)
  • 골프 코스
  • 볼링 센터 (케이시에 하나, 호비에 하나)
  • 실내 수영장 (호비), 야외 수영장 (케이시)
  • 야외 테니스/농구장
  • 소프트볼/야구장
  • 예술 및 공예 센터
  • 최근 리모델링된 체육관 2개
  • 게이트웨이 클럽 (케이시), 워리어스 클럽 (케이시), 아이언 트라이앵글 클럽 (호비) - 모든 군인이 이용 가능 (장교 및 부사관/사병 클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 자동차 관리 센터
  • USO

3. 4. AAFES (육군 및 공군 매점 서비스) 시설

AAFES 시설은 다음과 같다.

  • PX (Post Exchange, 군 매점)
  • 소규모 PX 부속 시설
  • LGU PLUS - 모바일, 인터넷, CATV (케이시와 호비 모두)
  • 스타벅스
  • 버거킹
  • 파파이스
  • 앤서니 피자
  • 찰리스 스테이크리
  • 배스킨라빈스
  • 스무디킹
  • 판다 키친 차이니스 퓨전 (호비)
  • 크리스피 크림 도넛 (호비)
  • 로빈 후드 샌드위치
  • 재단사
  • 쇼페트
  • Class VI 매장
  • 피자 배달
  • 주유소
  • 이발소/미용실
  • GNC

3. 5. 교육 시설

국방부 산하 학교는 2010년 8월 30일에 개교하여 유치원부터 8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했으나, 2016년 6월에 폐교되었다.[1] 6세 미만 및 초과 아동을 위한 보육 시설인 아동 및 청소년 학교 서비스(CYSS)도 2016년에 폐쇄되었다.[1]

4. 논란 및 비판

캠프 케이시와 관련하여 현재까지 제기된 주요 논란은 기지 반환 지연 문제이다. 경기도 동두천시캠프 캐슬, 캠프 호비의정부시캠프 레드 클라우드, 캠프 잭슨, 캠프 스탠리 등은 경기도 평택시캠프 험프리스로 이전될 예정이었고, 2016년까지 폐쇄될 예정이었으나, 현재까지 반환이 지연되고 있다.

4. 1. 기지 반환 지연

경기도 동두천시캠프 캐슬, 캠프 호비의정부시캠프 레드 클라우드, 캠프 잭슨, 캠프 스탠리에 주둔 중인 주한 미군은 경기도 평택시캠프 험프리스로 이전할 예정이었고, 해당 시설들은 2016년까지 모두 폐쇄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현재 반환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